얼굴 없는 가수 한나
미녀는 괴로워의 주인공 한나는 아주 뚱뚱한 몸매를 가진 무명가수입니다. 목소리는 예쁘고 노래를 잘해서 노래를 부르기도 하고 전화로 파트타임 잡을 하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자신 없는 외모 때문에 자신의 얼굴로 노래를 하는 것이 아니라 늘 다른 가수의 뒷 무대에서 목소리를 대신하며 그렇게 노래를 부르곤 합니다. 한나보다 노래는 못하지만 날씬하고 예쁜 가수인 아미 뒤에서 노래만 대신 불러주는 그런 얼굴 없는 가수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한나는 자신의 음악성을 알아봐 준 미남 프로듀서인 한상준을 짝사랑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한상준도 한나에게 진심인 것은 아니었습니다. 한나의 예쁜 목소리 때문에 한나가 필요했기 때문에 잘해준 것이었습니다. 한나가 상준을 짝사랑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아미는 한나를 망신주기 위해서 한나에게 자신과 똑같은 원피스를 선물하게 되고, 상준의 생일파티에 원피스를 입고 오라고 합니다. 그리고 날씬한 자기와 비교되게 함으로써 망신을 주게 됩니다. 그리고 한나는 생일 파티에서 상준이 한나에 대해 뒷이야기하는 것을 듣게 됩니다. 바로 잘해준 것이 관심이 아니라 불쌍해서라는 이야기를 듣게 된 것입니다.
미녀가수로 다시 태어나다.
한나는 상준의 생일파티에서 망신과 모욕을 얻게 된 것이 자신의 외모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전신 성형 수술을 결심하게 됩니다. 머리부터 발까지 전신 성형수술에 다이어트까지 병행하여 한나는 자신도 몰라볼 정도로 예쁘게 변신을 하게 됩니다. 예뻐진 외모덕분에 어딜 가나 자신감이 생기고, 사람들도 한나에게 더욱 친절하게 대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나가 아닌 제니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가수 생활을 하기 위해 성준이 있는 회사에 가수 오디션을 보러 갑니다. 예쁜 외모에 노래까지 뛰어나자 제니는 바로 데뷔를 하게 됩니다. 곧 사람들로부터 많은 인기를 누리고 상준과도 점점 가까워지게 됩니다. 그렇게 행복한 가수 생활을 계속 이어나갈 수 있을 것만 같았습니다.
한나, 솔직하게 나를 드러내다.
한나는 자신의 바뀐 외모 덕분에 성공도 하고 상준과 가까워질 수 있었다고 생각해 자신의 정체를 숨기려고 합니다. 그러나 제니의 모습에서 한나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하면서 아미는 이상함을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자신을 밀어낸 제니의 약점을 찾기 위해 노력합니다. 제니는 외모 덕분에 행복하기만 할 줄 알았던 자신의 삶이 그렇지 못하다는 것을 조금씩 느끼게 됩니다. 자신의 정체를 숨기기 위하여 친구, 아빠도 모른척 해야 했고 언제 밝혀질 모르는 성형 사실 때문에 가슴이 조마조마하기도 했습니다. 한참 인기를 누리던 한나는 아미의 시기로 자연 미인이 아니라 전신 성형한 미녀가수라는 사실이 대중들에게 밝혀지게 됩니다. 결국 한나는 자신의 콘서트 때 뚱뚱했던 과거를 인정하고 성형 수술로 이렇게 예뻐지게 된 것이라며 팬들을 향해 고백합니다. 성형 미인이라는 나쁜 여론도 생겼지만 그녀의 솔직함에 환호하는 팬들도 많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상준과의 사랑도 더욱 돈독해지게 됩니다.
외모, 능력, 마음 무엇이 중요할까?
미녀는 괴로워는 외모지상주의 사회를 완벽하게 비판하고 있는 영화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코미디적인 요소를 추가하고 사랑 요소를 추가하여 재미있게 그려냈을 뿐 외모지상주의를 비판한 영화라고 하면 미녀는 괴로워가 가장 먼저 떠오를 것 같다. 외모 때문에 얼굴없는 가수 생활을 시작하다 외모가 바뀌어 유명가수가 되고, 또 이를 폭로하겠다는 인물이 나타나는 등 이 영화의 전반적인 스토리는 외모로 연결된다. 외모가 예뻐지고 잘생겨지는 것이 좋다는 것은 우리 모두 사회 구성원들이 인정하는 바일 것이다. 실제로 많은 연예인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까지 예뻐지기 위해 성형수술을 하고 다이어트를 한다. 외모만 보고 판단하는 것이 좋지 않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모두 예쁜 외모를 지향하는 것이다. 외모가 훌륭하지 않더라도 몇 마디 대화를 나누다 보면 인품에서 나오는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사람도 많다. 그리고 외모를 뛰어넘는 능력을 지닌 사람들도 있다. 이런 사람들이 단지 외모에 가려져서 빛을 발하지 못한다면 정말 안타까운 일이다. 외모가 다라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알지만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쉽지 않다. 어쩔 수 없이 외모지상주의라는 사회 속에서 우리가 살아가고는 있지만 이런 영화를 통해서 한번씩이라도 외모지상주의에 대해 생각해보고 비판할 수 있어야 사회가 조금씩은 움직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왕국 1(2014), 겨울이면 생각나는 대표 애니메이션 (0) | 2022.01.07 |
---|---|
라푼젤(2011) (0) | 2022.01.07 |
마다가스카1(2005) (0) | 2022.01.07 |
노팅힐(1999) 누구나 한 번쯤은 꿈꾸는 사랑 이야기 (0) | 2022.01.07 |
세 얼간이(2011)/ 모든 것은 다 잘 될 거야! (0) | 2022.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