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피드백 유형/ 피드백의 초점(수준)에 따른 분류(과제, 과정, 자기 조절, 개인)

  피드백 수준은 HattieTimperley (2012)에 기반해서 살펴볼 수 있다. 크게 4가지로 나누어 초점을 나눠볼 수 있는데 과제, 학습과정, 자기조절, 자아 수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과제 피드백

  과제수준의 피드백은 과제 수행에 대한 오류, 과제의 질, 정오답 등과 같이 과제 그 자체에 대한 피드백을 의미한다. 주로 오개념 수정이나 교정을 위한 목적으로 많이 활용된다. 과제 피드백은 과제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지식과 관련한 정보를 많이 제공할 수 있어 현재 학습에는 도움이 되지만, 다른 과제로의 전이는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다. 과제 피드백의 예로는 '이 문제는 정확하게 맞혔네.' 등과 같다.

 

2. 과정 피드백

  이 피드백은 학생의 과제 처리 과정에 초점을 둔 피드백이다. 과정 피드백은 학생이 과제 수행을 해온 과정, 대안적인 전략 등과 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학습자들이 학습 과정이 익숙해지면 학생들은 이 학습과정을 다른 과제를 수행할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과정 피드백은 전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로는 '이 문제는 어떤 과정을 거쳐 풀었니?'와 같은 피드백이 있다.

 

3. 자기조절 피드백

  이 피드백은 학생의 자기 조절, 자기 평가와 관련된 피드백이다. 학생은 자신의 인지 전략이나 지식 등을 조절하고 자신을 평가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어야 하는데 이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피드백하는 것이다. 또한 다음 목표를 향해 스스로 학습을 조절할 수 있도록 피드백하는 것도 포함된다. 예로는 '네가 이루고자 했던 목표를 달성한 것 같구나 그렇지?' 등이 있다.

 

4. 자아수준 피드백

  이 피드백은 학생 개개인에게 초점을 맞춘 피드백이다. 이 피드백만으로 학습에 미치는 효과는 나머지 다른 피드백에 비해 가장 낮다고 할 수 있다. 학습과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기보다는 학생에게 초점을 맞추어 '잘했어' '훌륭해'와 같은 피드백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피드백을 할 때에도 학습과 관련지어 피드백하는 것이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