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피드백의 유형/ 피드백 제공 방법에 따른 분류(구두 피드백, 서면 피드백, 시범 보이기)

  피드백의 제공 방식에 따라 구두 피드백, 서면 피드백, 시범 보이기로 나눌 수 있다. 구두 피드백은 언어로서 전달하는 것, 서면피드백은 글, 시범보이기는 행동으로 제공하는 피드백이다.

 

1. 구두 피드백

  구두 피드백은 말로서 피드백이 전달되기 때문에 빠르게 전달 할 수 있으며, 피드백 내용에 대한 재 피드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피드백을 결정할 시간이 짧고 한번 내뱉은 피드백을 돌이킬 수 없으며, 학생이 이를 반복 활용하기에도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 피드백 제공자가 전달하는 시기도 중요하지만 피드백을 제공받는 이가 이를 들을 준비가 되었는가? 역시 피드백 활용에 있어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보통 구두피드백은 비공식적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면 교실에서 순회지도를 할 때 학생을 관찰하며 발생한다.  물론 공식적인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 어린아이들의 경우 글이 익숙하지 않아 구두 피드백이 공식적 용도로 쓰이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구두 피드백의 경우 짧은 관찰 도중 일어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잘못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학생이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질문하거나 학생의 의도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2. 서면 피드백 

  서면 피드백은 글로 남기는 피드백을 의미한다. 학생의 과제에 코멘트를 달아주는 것이 대표적인 서면 피드백이다. 이 방법뿐만 아니라 루브릭을 활용할 경우에는 루브릭 점수 칸에 주석처럼 적어줄 수도 있다. 루브릭에 주석 달기 피드백의 경우 교사가 반복해서 같은 내용을 적는 부담을 덜어준다는 점에서 효율적이며,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되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어느 정도 학년이 높은 학생들에게는 학습과정에서 다시 참고할 수 있는 서면 피드백이 유용할 수 있다.

 

3. 시범 보이기

  시범 보이기는 일종의 행동 피드백으로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말이나 글로 표현하기보다 직접 시범을 보여줌으로써 피드백해주는 것이다. 체육활동의 경우 서면 피드백이나 구두 피드백이 주는 제한점이 있는데, 직접 시범을 보임으로써 효과적으로 피드백을 제시할 수 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