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피드백 유형 / 청중에 따른 피드백(개별 피드백, 그룹 피드백, 전체 피드백)

 

피드백의 유형을 듣는 사람에 초점을 맞춰서 분류하면 개별 피드백, 그룹 피드백, 전체 피드백으로 나눌 수 있다.

 

1. 개별 피드백

 개별 피드백은 학생 개인별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학생의 수준에 맞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개별적으로 제시될 때 효과가 있다. 개별 피드백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으나 학생 개인에게 맞춘 맞춤 피드백이기 때문에 학습에 효과적이다. 정서적으로도 효과적인데 선행연구에 의하면 학생은 개별 피드백을 받을 때 프라이버시를 존중받고 있다고 느끼며 교사가 자신을 신경 쓰고 있다고 느껴 관계성을 느낀다고 한다.

 

2. 그룹 피드백

 그룹피드백은 그룹별로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룹 활동 시 교사가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도 의미하고, 유사한 메시지를 여러 학생에게 전달해야 하는 경우 그룹 피드백을 활용한다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전체 피드백

 전체 피드백은 학급의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이다. 학생들이 유사한 실수를 하고 있다면 전체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전체 피드백은 수업시간에 보통 많이 활용되는데 수업 도입에서 지난 학습과 본 차시를 연결시키거나 지난 학습 차시를 복습할 때 활용할 수 있으며, 지난 시간 학생들이 부족했던 부분을 요약해서 전체적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시험을 치고 난 이후나 과제를 제시한 이후에 자연스럽게 피드백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강점과 약점을 요약해주고 수업을 정리, 복습한다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는 있지만 학생 개인별 피드백에 대한 이해정도가 다르고, 피드백에 참여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모든 학생들에게 같은 피드백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전체피드백을 제시할 때는 학생들에게 지금 피드백을 하려는 것을 환기시킨 후 피드백을 하는 것도 중요하다. 학습목표를 언급하거나, 부족했던 부분에 대한 문항 설명 등 지금 교사가 피드백하려는 것에 대한 도입을 한 이후 피드백한다. 만약, 학급의 다수가 아닌 소수의 학생이 이해를 하지 못한 경우 전체 피드백보다는 개별 피드백을 활용하는 것이 더 좋다.

 

4. 세 가지 피드백을 함께 활용하기

  이 세가지 피드백은 한 수업에서도 여러 장면에서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각 피드백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오개념이 많은 부분을 피드백한 후 학생 개별적으로 추가 질문하는 등의 방법을 써 이해 정도를 점검할 수 있다. 또 학생들이 활동을 할 동안 순회지도를 하며 그룹별 피드백을 제시할 수 있다. 교사의 피드백만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룹 피드백을 할 때 우수 아동들에게 그룹 피드백을 하도록 할 수 있다. 교사의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이 어우러져 피드백의 효과가 커질 수 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