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피드백의 종류 / 복잡성에 근거한 피드백(확인적 피드백, 정교화 피드백) 

 

 피드백의 종류는 기준을 무엇으로 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우선 이 페이지에서는 피드백의 종류를 정보의 복잡성으로 나눠보고자 한다. 즉, 피드백에 정보가 얼마나 포함되어있느냐로 나눌 수 있는데, 크게 두 가지로 확인적 피드백과 정교화 피드백으로 나눌 수 있다.

 

1. 확인적 피드백(verified feedback)

  확인적 피드백은 학생들에게 정답 여부 정도만을 알려주는 피드백을 의미한다. 학생들의 과제를 검사하고 난 뒤에 찍어주는 도장, o,x표시 등과 같은 기호 정도를 떠올리면 된다. 왜 그것이 잘못되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없이 학생들에게 정답을 확인해주거나 혹은 정답을 주지 않으면서 실수에 표시하여 스스로 고치도록 하는 것도 확인적 피드백에 속한다. 즉, 정답여부를 제공하거나, 틀렸다는 것을 알려주어 재시도 하도록 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2. 정교화 피드백(elaborated feedback)

  정교화 피드백은 왜 답이 옳은지 틀린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포함된 피드백이다. 구체적인 설명이 아니더라도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전략적 힌트를 준다던가, 학생이 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조언을 제공해주는 것, 오류를 분석해주는 것 등을 포함한다. 단순히 정답을 확인하는 것에서 나아가 어떤 부분이 부족했고, 수정하면 되는지 조언이 덧붙여진 피드백을 의미한다.

 

3. 어떤 피드백이 좋은가?

  구체적인 조언이 들어간 정교화 피드백이 확인적 피드백보다 더 학습에 효과가 좋을까? 정보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정교화 피드백이 우수하다는 것은 아니다. 어떠한 피드백이 좋은지와 관련한 연구 결과는 혼재되어 있다. 학습자의 수준이나 학습과제의 난이도 등에 따라서 확인적 피드백이 효과적일수도, 정교화 피드백이 효과적일수도 있다. 보통은 학습자 수준이 낮은 학생들에게는 정교화 피드백이 더 효과적이라고 이야기 하기도 하지만 이 또한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학습자 수준이 낮은 학생들이라고 할지라도 학습내용이 쉬운 경우, 학생들이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론, 어떤 피드백이 더 좋은지 알고 싶어하는 이들에게 보편적으로는 확인적 피드백 보다는 정교화 피드백이 더 효과적이라고 알려져있긴 하다. 하지만 결론은 이러한 내용을 일반화 하기는 어려우며, 학습자의 수준과 과제의 종류 등을 고려해야 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