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평가의 유형 - 규준 지향 평가, 준거 지향 평가, 성장지향 평가, 능력 지향 평가

  평가의 유형은 어떤 준거로 나누는지에 따라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먼저 평가의 준거를 개인의 밖에 두느냐, 개인의 안에 두느냐로 나눌 수 있는데 개인 밖 준거의 경우 규준 지향평가, 준거 지향평가로, 개인 내 준거의 경우 성장지향평가, 능력지향평가로 나눌 수 있다.

 

1. 개인 밖 준거: 규준지향 평가, 준거지향 평가

가. 규준 지향 평가: 상대평가

 우리가 흔히 아는 상대평가를 규준 지향 평가라고 한다. 규준 지향 평가의 목적은 서열나누기, 순위판정 등이다. 점수를 토대로 개인의 상대적 위치를 비교하는 방법이다. 상대적 위치가 나오기 떄문에 이 평가의 결과는 주로 학생을 선발하거나 배치, 분류하는데 많이 사용한다. 그러므로 평가의 주안점은 주로 신뢰도에 초점이 맞춰지게 되고 얼마나 학생을 잘 '변별'하는가에 있다.

규준지향평가의 장점은 개인차를 변별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교사의 자의적 판단이 개입될 여지가 적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순위를 판정하는데 목적이 있는 만큼 경쟁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학생들의 정서적 스트레스 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어떤 점이 부족한지 등 학생의 수행과 관련한 정보를 얻기에는 다소 어렵다는 점이 단점이다.

 

나. 준거 지향 평가: 절대평가

  우리가 잘 아는 절대평가가 바로 준거 지향 평가이다. 어떤 교육목표가 있고 그 교육목표에 개인이 얼마나 도달했는가?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방식이다. 개인의 수행 수준을 확인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학생이 어떤 것이 부족했고, 무엇을 잘했는지 알 수 있어서 교수학습을 개선하는데 활용되기도 한다. 교육목표 도달이 주요 목적이므로 검사 목표와 부합되는 내용이 평가되었는가? 가 주요 주안점이라 할 수 있다.

  준거 지향 평가의 장점은 학습목표와 관련한 평가를 실시하여 학습의 도달도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 목표, 평가 기준 등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평가의 질이 결정되기 때문에 교사의 전문성이 결여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2. 개인 내 준거: 성장지향 평가, 능력 지향 평가

가. 성장지향 평가

  성장지향 평가는 학생의 초기 성취 수준과 현재 성취 수준을 비교하여 학생이 얼마나 향상하였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나. 능력 지향 평가

  능력 지향 평가는 학생이 지니고 있는 능력에 비추어 얼마나 최선을 다했는가?를 평가하는 방식이다.

 

다. 두 가지 평가의 제한점 

  이 두 가지 평가는 학생 개인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개별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초기 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과 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의 경우 향상할 수 있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는 점. 또 최선을 다했다는 것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등의 문제점 역시 존재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