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평가는 자신의 학습이나 수행을 학생들이 스스로 모니터 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말한다. 자기 평가의 장점과 과정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자기 평가의 장점
자기평가는 학생이 스스로 자신의 학습을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며 학습자 중심 평가가 되도록 돕는다. 또 자신의 장단점을 이해함으로써 수행을 개선하도록 도와 인지적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 이 과정에서 학습 향상과 함께 내적 통제감을 강화할 수 있으며 인내와 끈기를 기를 수도 있다. 학습성취, 내적 통제감은 결국 동기 증가로 연결되는 등 정의적인 측면에서도 도움이 된다.
2. 자기 평가의 과정
자기 평가는 자기모니터링, 자기판단, 학습목표와 교수적 수정 단계로 이루어진다(McMillan & Hearn, 2008). 자기 모니터링 단계는 자신의 학습과 관련한 사고와 행동에 대한 인식을 하는 단계이며 자기 판단과정은 학습목표에 대한 자신의 학습 과정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이 때 자신의 현재 진행 정도를 파악하고 무엇을 알고 있는지, 학습목표와의 차이는 무엇인지 파악하게 된다. 이후 학습목표와 교수적 수정 단계에서는 내가 파악한 학습에 대한 수정과 추가적인 학습이 일어나며 다음 학습에 대한 계획, 목표 수립이 일어나는 단계를 거친다. 이러한 단계는 순환적으로 지속되게 된다.
3. 자기평가가 효과적으로 되려면?
앞서 살펴본 자기평가의 과정에서처럼 자기 평가는 학습 목표를 인지하고 목표에 대한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수정해나가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의 학습목표 인식 및 현재 상태를 되돌아 볼 수 있는 능력, 명확한 목표와 평가기준, 교수학습전략이 필요하다. 즉, 메타인지와 자기평가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 메타인지란?
메타인지는 인지에 대한 인지, 생각에 한 생각으로서 이해를 점검하고, 결과를 예측하고, 시간 및 학습전략으 ㄹ조절하고 계획을 세우는 등 자기 자신을 모니터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4. 자기평가 전략
1) 학습 전
학습 전에는 학습 목표와 평가기준을 공유하여 학생이 명확하게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학습목표나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작품을 함께 분석해보는 활동도 좋으며 평가기준, 채점 기준 등을 함께 개발하는 것도 좋다.
2) 학습 중
학습 중에는 자기 평가를 장려하는 질문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내가 부족한 것은 무엇인지, 더 배워야 할 것은 무엇인지,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질문할 수 있다. 또한 잘한 것과 더 배워야 할 영역을 떠올리거나 이해정도를 자기평가하도록 할 수 있다.
3) 학습 후
학습 후에는 자신의 작품이나 동료의 작품을 채점 기준에 따라 평가해보도록 할 수 있고 자신이 받은 점수에 대해 스스로 설명해보도록 할 수도 있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택형 평가의 의미와 유형, 문항작성시 유의사항 (0) | 2021.11.18 |
---|---|
정의적 영역의 평가 / 관찰, 인터뷰, 자기보고식 (0) | 2021.11.17 |
평가의 종류/ 구성형 평가/완성형, 단답형, 서술형, 논술형 평가 (0) | 2021.11.11 |
피드백을 바라보는 두 관점: 수정과 전달 vs 대화와 과정 (0) | 2021.11.04 |
다양한 채점 유형 / 체크리스트, 평정척도, 루브릭, 평가기준등급표, 평가기준점수표 등 (0) | 2021.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