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형 평가는 서답형 문항이라고도 하며, 문두만 제시하여 학생이 스스로 답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문항이다. 구성형 평가의 종류에는 완성형, 단답형, 서술형, 논술형 평가 등이 있다.
*문두란? 문제가 제시되는 부분
1. 완성형 평가
완성형 평가는 괄호형 평가라고도 한다. 한 두개의 빈칸이 제시된 불완전한 문장을 주고 빈칸에 해당하는 답을 적도록 하는 형식이다. 이 문항의 경우 간단하기 때문에 만들기가 쉽고 한 번에 넓은 범위를 출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교적 답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구성형 평가에 비하여 채점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순한 지식이나 사실만을 측정할 가능성이 있고 문항을 바르게 출제하지 않으면 답이 여러 개가 나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2. 단답형 평가
단답형은 문두를 명령문이나 의문문으로 제시하고 간단한 단어나 숫자 또는 짧은 문장으로 답하도록 하는 형식이다. 이 문항의 경우 완성형 평가와 유사하게 문항 제작이 용이하고 넓은 범위를 출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다형 문항의 단점이었던 추측을 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단순 지식이나 개념 등을 측정할 가능성이 있어 암기위주의 학습을 조장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3. 서술형 평가와 논술형 평가
서술형평가와 논술형 평가는 모두 주어진 질문에 여러 개의 문장을 응답하는 문항으로 학생이 직접 답을 작성하는 문항이다. 서술형 평가는 주어진 문제를 읽고 학생이 알고 있는 정보와 지식을 활용하여 논리적으로 설명, 해석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이다. 하지만 논술형은 개인의 생각이나 주장을 설득력 있고 논리적으로 조직하여 작성하는 평가이다. 두 가지 평가방법 모두 고등정신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채점의 일관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채점 기준을 명확히 하고 사전 훈련을 통하여 채점의 신뢰도 문제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의적 영역의 평가 / 관찰, 인터뷰, 자기보고식 (0) | 2021.11.17 |
---|---|
자기평가(self-assessment)란? (0) | 2021.11.14 |
피드백을 바라보는 두 관점: 수정과 전달 vs 대화와 과정 (0) | 2021.11.04 |
다양한 채점 유형 / 체크리스트, 평정척도, 루브릭, 평가기준등급표, 평가기준점수표 등 (0) | 2021.11.03 |
피드백 유형/ 피드백의 초점(수준)에 따른 분류(과제, 과정, 자기조절, 개인) (0) | 2021.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