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선택형 평가의 의미와 유형, 문항작성시 유의사항

 

1. 선택형 평가의 의미 

선택형 평가는 문두와 선택지를 제시해 놓고 조건에 맞게 선택지를 고르도록 하는 문항이다. 문두(item-stem)는 문항에서 질문을 제기하거나 상황을 설정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선택지(response alternatives)는 문두에 대해 제시해놓은 답지들을 의미한다.

 

2. 선택형 문항의 유형과 이에 따른 작성시 유의사항

1) 선다형

  선다형의 유형은 다시 정답형, 최선답형, 부정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선다형은 정답이 정해져 있으므로 채점이 객관적이며 용이하고 성적내기가 쉽다. 또한 다양한 학습 목표를 측정하기에도 유리하다. 그러나 추측에 의해 정답을 맞힐 가능성이 있으며 피드백 제공이 제한적이라는 단점도 있다. 또한 비교적 낮은 수준의 인지 기능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선다형 문항을 작성하기 위하여 부정어는 되도록 피하고 질문하고자 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기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선택지는 매력적인 오답이 포함되도록 구성하며 '모두 정답', '정답 없음'과 같은 특수 오답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문항을 편집할 때는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으로 배열하는 것이 좋으며, 너무 많은 문항을 한 면에 두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답지의 길이를 가능한 비슷하게 하되, 상이할 때는 짧은 순서로 배열하고 논리적 순서가 있으면 논리적 순서로 배열하는 것이 좋다.

 

2) 양자택일형(진위형)

진위형은 두 개 선택지 중 하나를 골라 답하는 문항을 의미한다. 진위형은 만들기가 쉽기 때문에 많은 지식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채점을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두 개 선택지 중 하나를 고르는 문항이므로 추측하기가 쉽다는 단점이 있다. 이 문항을 작성할 때 되도록 하나의 문항에 하나의 사실이나 생각을 담아야 한다. 또한 모호한 낱말이나 실마리를 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부정문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3) 연결형

연결형은 전제와 선택지의 반응을 연결하도록 하는 문항이다. 보통 4-8개의 전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지시사항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반응(선택지)의 경우 논리적인 순서로 배열하는 것이 필요하다. 같은 성질의 전제와 반응을 제시하여 정답에 실마리를 제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