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항의 변별도는 문항이 피험자를 변별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고전 검사와 문항 반응 이론에 따른 문항 변별도의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1. 고전검사에 따른 문항 변별도란?
고전검사에 의한 문항 변별도는 문항이 피험자를 변별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를 의미한다. 여기서 문항이 피험자를 잘 변별한다는 것의 의미는 능력이 높은 피험자는 해당 문항을 맞히고, 능력이 좋지 못한 피험자는 그 문항을 틀리기를 기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능력이 높은 학생이나 낮은 학생 모두 정답을 맞히지 못하거나 모두 답을 맞히는 경우에는 변별력이 없는 문항이 될 것이다. 또한 능력이 높은 학생이 문항을 틀리고, 능력이 낮은 학생이 문항을 맞힐 경우는 변별도가 음수인 경우로 나쁜 문항에 해당한다.
문항 별별도 지수는 문항의 정답 여부와 학생들의 능력의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학생의 능력은 어떤 검사에서의 총점을 의미한다. 즉, 문항변별도는 문항 점수와 피험자 총점의 상관계수에 의해 추정할 수 있다.
문항 변별도를 추정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피험자 집단을 나누어 살펴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능력이 우수한 집단과 능력이 우수하지 못한 집단으로 구분하여 우수 집단과 그렇지 못한 집단의 정답 비율의 차이를 보고 변별도를 추정할 수 있다. 능력이 우수한 집단의 정답자 비율이 높고, 그렇지 않은 집단의 정답 비율이 낮다면이 문항은 제대로 학생들을 변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2. 문항반응이론에 따른 문항 변별도란?
문항반응이론에 따른 문항 변별도는 피험자의 능력 수준보다 낮은 능력의 피험자와 높은 능력의 피험자를 변별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즉, 문항이 피험자의 능력 수준을 변별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아래 문항 특성 곡선을 살펴보면 세 문항은 난이도는 모두 같은 것을 알 수 있으나, 문항 특성 곡선의 기울기가 모두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1번 문항의 경우 학생의 능력 수준을 의미하는 x축이 변화함에 따라 정답을 맞힐 확률인 y축의 값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3번 문항의 경우 x축이 변함에 따라 y축의 값이 1번이나 2번에 비해 완만하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1번 문항이 3번 문항보다 변별력이 더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문항특성곡선에서 문항의 난이도를 나타내는 부분의 기울기는 문항 변별도를 의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기호로는 a 또는 알파로 표시한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주의 학습이론- 고전적 조건화 (0) | 2022.02.18 |
---|---|
기계학습의 주요 개념 (0) | 2021.12.20 |
문항의 난이도란? 고전검사이론/문항반응이론 (0) | 2021.11.23 |
선택형 평가의 의미와 유형, 문항작성시 유의사항 (0) | 2021.11.18 |
정의적 영역의 평가 / 관찰, 인터뷰, 자기보고식 (0) | 2021.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