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이론은 크게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로 나눌 수 있다. 이 페이지에서는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먼저 다루고자 하는데 행동주의 학습이론 중서도 먼저 고전적 조건형성을 다루려고 한다.
1. 행동주의 학습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는 학습을 새로운 자극과 반응의 연합으로 설명하였다. 따라서 행동주의 학습 이론을 연합이론, 자극과 반응이론으로 부르기도 한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의 주요 개념은 자극과 반응이다. 자극은 어떤 행동을 활성화 시키는 사건을 말하며 반응은 자극에 대한 행동을 의미한다.
2. 고전적 조건화
고전적 조건화를 제안한 사람은 러시아의 생리학자 파블로프이다. 파블로프는 개가 음식을 먹은 후 소화액을 분비하는데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침분비 실험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개가 음식이 아닌 과학자가 걸어오는 발자국 소리에도 침을 흘리는 것을 발견한다. 이후 학습에 관한 본격적인 실험을 시작하게 되었다.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실험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개에게 종소리를 들려주고 개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종소리는 개의 침분비를 유발하지 못한다. 즉, 이때의 종소리는 침분비와는 아무 관련이 없는 자극으로 중립자극이라 한다. 반면 개에게 음식물을 주면 개는 침분비를 본능적으로 하게 된다. 이 때 선천적이고 본능적인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을 무조건 자극이라 하고 침을 흘리는 행동과 같이 자연스럽게 하게 되는 반응을 무조건 반응이라 한다.
파블로프는 개에게 음식물을 제공할 때마다 종소리를 반복해서 들려주었다. 바로 개가 중립자극인 종소리에도 침을 분비하도록 조건화형성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개는 음식물 없이 종소리만 들려주어도 침을 흘리게 된다. 이때 종소리는 중립자극이 아니라 조건 자극이 되며, 조건자극에 의해 침을 흘리는 행동이 유발되었기 때문에 이 반응을 조건반응이라 한다.
3. 고전적 조건화의 주요 개념
- 일반화: 어떤 조건 자극과 유사한 자극에도 조건 반응을 나타내는 현상 (예: 종소리와 유사한 다른 소리에도 침을 흘리는 경우)
- 변별: 기존의 조건 자극에만 조건 반응을 나타내고 유사한 자극에는 조건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현상(해당 종소리에만 침을 흘리는 경우)
- 소거: 조건형성과정을 통해 학습된 조건반응이 사라지는 현상(종소리만 들려주고 음식물을 주지 않았을 때 종소리에 더이상 침을 흘리지 않는 현상)
- 자발적 회복: 조건반응이 소거된 이후 시간이 흐른 후 조건 자극을 제시하면 조건 반응이 다시 나타나게 되는 현상. 학습의 영속성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함.(종소리에 더이상 침을 흘리지 않았으나 시간이 흐르고 다시 종소리를 들려주니 종소리에 침을 흘리게 되는 현상)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학습의 주요 개념 (0) | 2021.12.20 |
---|---|
문항의 변별도란?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으로 나누어) (0) | 2021.11.28 |
문항의 난이도란? 고전검사이론/문항반응이론 (0) | 2021.11.23 |
선택형 평가의 의미와 유형, 문항작성시 유의사항 (0) | 2021.11.18 |
정의적 영역의 평가 / 관찰, 인터뷰, 자기보고식 (0) | 2021.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