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득이와 담임교사 동주
영화 완득이에서는 완득이와 완득이 담임 선생님인 동주가 주인공입니다. 두 사람이 보이는 호흡이 이 영화를 이끌어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동주는 18살 고2 학생으로 불우한 가정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반항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학교에 적응을 못하는 정도이지 착실한 모습도 많은 학생이기도 합니다. 그런 완득이를 세상 속에서 함께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적응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 바로 담임교사 동주입니다. 동주는 부자이지만 외국인 노동자들을 학대하는 아버지에게서 환멸감을 느끼며 자랐고 그와 다른 길을 걷고자 노력합니다. 동주는 완득이의 옆집 옥탑방에 살고 있습니다. 완득이는 동주가 죽기보다 싫습니다. 이들이 펼쳐가는 이야기가 바로 영화 완득이입니다.
꿈도, 희망도 없는 반항아 완득이
가난한 동네 옥탑방에서 살고 있는 동주와 완득이는 담임교사와 학생 사이입니다. 완득이는 곱추 아버지와 언제부터인지 함께 살게 된 삼촌과 같이 살고 있습니다. 삼촌과 아버지 정복은 카바레에서 춤을 추거나 시장에 돌아다니며 물건을 팔아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완득이는 가난하고 불우한 가정환경에 공부도 못하는 일종의 문제아였습니다. 꿈도 없고, 가진 것도 없고, 희망도 없었습니다. 이런 그를 자꾸 괴롭히는 사람이 있으니 바로 담임선생님 동주입니다. 동주는 완득이가 가난을 숨기지 말고 떳떳하게 생각하며 생활하기를 바랍니다. 그래서인지 완득이가 감추고 싶은 사생활을 폭로하기도 합니다. 물론 동주는 완득이를 생각하는 마음이 컸기에 18년간 알지도 못했던 엄마를 찾아주려고 노력합니다.
그런데 어느날 문득 자신을 찾아온 필리핀 여성이 자신의 엄마라고 합니다.
호정과 윤하의 등장
아버지가 시골장에서 돌아오자 완득이는 어머니에 대해서 물어보지만 아버지는 어머니에 대해 말하기를 머뭇거립니다. 한편, 아버지가 산 소형차에 누가 낙서를 해놓고 타이어 펑크를 내놓은 것을 발견합니다. 동주는 틈만 나면 욕을 하는 옆집 아저씨를 의심했고 그 집을 찾아가 따지게 됩니다. 결국 서로에게 막말이 오가던 둘은 싸움이 일어나게 되고 옆집 아저씨에게 주먹을 날려 피멍을 들게 합니다. 둘은 경찰서에 가게 되고 서로 합의를 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합의가 잘 되지 않습니다. 옆집 아저씨 동생인 호정이 먼저 완득의 가족에게 사과를 건네자 동주의 강요로 완득이도 사과를 하게 됩니다. 동주는 왠지 호정에게 끌리는 감정을 느낍니다.
한편, 완득의 학교에서는 전 남자 친구로 인해 곤란에 처한 윤하가 완득을 따라오며 할 이야기가 있다고 합니다. 완득은 자신의 힘든 상황을 완득에게 터놓게 되고 완득은 당황하지만 윤하가 고맙다고 말하며 완득에게 호감을 표하자 윤하에게 호감을 느끼게 됩니다.
행복을 찾아가는 모두들
완득은 엄마 숙희와 어색했지만 조금씩 엄마와 완득이는 가까워지게 되고 엄마는 동주에게 반찬도 해주며 서로 가까워지기 시작합니다. 교회에 간 완득이는 핫산을 만나게 되고 그의 추천으로 킥복싱을 하러 갑니다. 테스트를 하던 중 완득이는 자신의 화를 참지 못하고 싸움하듯이 경기를 풀어가 경기장에서 쫓겨나게 됩니다. 그러나 완득이는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처음 발견하게 되고 아버지에게 킥복싱을 하겠다고 이야기 하지만 아버지는 반대합니다. 하지만 동주는 완득이 편에서 아버지를 설득하게 되고 완득은 킥복싱을 시작하게 됩니다. 동주 덕분에 알게 된 자심의 엄마와 그리고 꿈이라는 희망을 통해 동주는 얼굴에 미소를 찾아갑니다. 동주는 외국인 노동자를 도우려고 했으나 불법체류자를 도와줬다는 이유로 경찰서로 잡혀가게 됩니다. 완득은 윤하와 동주의 면화를 가게 되는데 면회를 마치며 데이트를 하게 됩니다. 동주는 경찰서에서 풀려나게 되고 동주는 자신의 전재산을 털어 교회를 사게 되고 거기에 다문화 센터를 열기로 합니다. 동주와 호정은 서로 사랑에 빠지게 되고 정복과 숙희도 화해를 하게 됩니다. 다문화 센터가 오픈되고 정복과 민구는 댄스교습을 맡게 됩니다. 그리고 숙희(완득의 모)는 외국인들에게 요리를 가르치게 되고 호정은 한글교육을 맡게 됩니다. 완득이는 부모님과 한집에서 살게 되고 완득이는 활짝 웃으며 영화는 끝이 납니다.
완득이는 소설을 바탕으로 만든 영화입니다. 물론 원작과 조금 바뀐 점도 있지만 완득이의 성장을 다룬 영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완득이 속의 인물들은 대체로 사회적 약자가 많이 나옵니다. 다문화가정, 장애인, 기초수급자 등 이런 사회적 약자들의 어려움을 되도록 밝게 그려내려고 한 영화인 것 같습니다. 돈이 많고 적음이 아닌 마음의 행복을 찾은 사람이 진정한 부자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영화가 아닌가 합니다.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리뷰/ 집으로(2002) (0) | 2022.01.17 |
---|---|
영화 리뷰 / 라디오 스타(2006) (1) | 2022.01.13 |
영화 국제시장(2014) (1) | 2022.01.12 |
영화 엽기적인 그녀(2001) (0) | 2022.01.11 |
영화 7번 방의 선물(2013) (0) | 2022.01.09 |